현재위치 HOME > 심리 > 일상/관계의 심리

일상/관계의 심리

심리전문가가 바라보는 일상 생활 속 다양한 사람들의 심리 인사이트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268 좋아요 1 2021-03-12

우리 뇌 속에 거울이 있다? 

<거울 뉴런>




 

드라마 속 주인공이 눈물을 흘릴 때 함께 눈물을 흘려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옆 사람이 하품하는 모습에 절로 하품이 났던 적은 없나요우리는 종종 이렇듯 무의식 중에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고 공감하는 행동을 보이곤 합니다이런 반응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원인은 바로 우리 뇌 속의 거울 뉴런에 있습니다.

 

 

 

거울 뉴런이란 이름처럼 타인의 행동을 거울처럼 반영하는 신경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특히 특정 움직임을 행할 때나 다른 개체의 특정 움직임을 관찰할 때 활동하며 타인의 행동에 대한 모방, 감정을 공유하는 공감 능력, 친밀한 사람과 닮아가게 되는 현상들을 가리킵니다.

 

 

 

거울 뉴런은 1996년 이탈리아 파르마대 생리학연구소에서 원숭이의 뇌를 관찰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원숭이의 뉴런 중 사람이 음식 조각을 집는 것을 볼 때 활성화 되었던 신경세포 일부가 스스로 음식을 집을 때에도 일부 똑같이 활성화되는 것을 보고, 운동과 연관된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영역이 행동을 할 때가 아니라 볼 때에도 활성화된다는 것을 발견한 것입니다.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부여해주는 거울 뉴런은 우리가 다양한 형태의 관계들을 맺을 수 있게 합니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자신의 것으로 느끼고 처지를 이해하는 공감 이야말로 미러 뉴런의 놀라운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울 뉴런은 사람들의 감정과 태도를 주변사람들에게 전염시키기도 합니다. 이러한 공감 현상을 감정의 공명 현상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현상의 가장 극단적인 예가 바로 군중심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군중들이 자기도 모르게 옆 사람에 동화되어 자동적으로 따르는게 되는 것입니다.

 

 

 

거울뉴런의 이러한 공감 능력은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더 민감합니다. 때문에 감성 마케팅이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거울 뉴런계에 이상이 있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문제가 생기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힘들며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몇몇 연구자들은 자폐증의 증상이 거울 뉴런의 기능과 연관이 있으며, 따라서 자폐증의 원인을 거울 뉴런계의 손상 때문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모방을 넘어 공감까지 가능하게 하는 거울뉴런타인과의 유대감을 높이고, 더불어 사는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신비한 열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