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심리 > 미디어 속 심리

미디어 속 심리

영화·드라마·서적 등 미디어 속의 심리 인사이트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336 좋아요 1 2020-07-20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상태가 앓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무엇?!

 


 

요즘 많은 분들이 푹 빠져 있는 화제의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김수현(강태), 서예지(문영) 배우의 연기도 좋지만 순진한 듯 허를 찌르는 오정세(상태) 배우의 주옥같은 말들이 실소를 자아내는데요. 극중 상태는 강태의 형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어요. 아이 수준의 지능이라 의사소통이나 대인 관계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관심 범위인 그림과 공룡에 있어서는 누구보다 뛰어난 재능을 보여요.

 

자폐증은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은 없을 테지만 왜 발생하는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실 거예요. 상태의 행동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해 쉽게 알아볼게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문제 행동이 광범위하고 증상이 각기 달라서 몇 가지 질환으로 세분화할 수 있어요.

 

첫 번째는 천재들의 병이라고 불리는 서번트 증후군입니다. 사회성은 떨어지지만 퍼즐이나 암산, 음악 등 특정 분야에 있어 매우 우수한 재능을 보여요.

 

두 번째 아스퍼거 증후군은 언어와 지능은 정상이지만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결함이 있어 괴짜처럼 보이기도 해요.

 

마지막 전형적인 자폐증은 언어, 인지, 사회성 등 전체적인 부분에서 기능 저하가 나타나요.

 

 

 


미술에 소질이 있어 괜찮은 병원에서 벽화를 그리고, 고문영 작가의 동화책에 삽화 그리는 일까지도 척척 해내는 상태의 모습에서 그는 서번트 증후군에 가깝다는 걸 알 수 있어요. 다만 동료 작가와 일하던 중 퇴근 시간이 되자 하던 말을 뚝 끊고 가버리는 모습에서 자신이 만든 규칙이나 특정 사물에 집착하는 증상을 볼 수 있습니다. 또 긴 머리를 짧게 자른 문영에게 긴 머리가 예뻤는데 왜 잘랐냐.”며 굳이 반복해서 말하는 모습에서 서번트 증후군의 사회성 결여 증상도 엿볼 수 있어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임신, 분만을 전후 합병증, 경련성 질환과의 연관성, 대사 장애, 감염, 내분비 기능의 이상으로 발병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이외에도 유적적인 요인이나 뇌 구조·기능 이상 등으로도 발병할 수 있답니다.

 

간혹 내가 아이를 잘못 키워서 자폐가 발생한 건 아닐까.’ 자책하는 부모님들이 계시는데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생물학적 혹은 기질적인 뇌 결함 때문에 생기는 것이지, 육아 방법이나 부모와 아이의 성격, 관계 결핍 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법은?

 

안타깝게도 자폐 스펙트럼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다만 발병 원인이 다양한 만큼 원인 질환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어요. 다만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 효과가 높아지므로 생후 36개월 이하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밀가루 반죽이나 물감 놀이 등 감각·상호작용 놀이를 통해 오감을 발달시키면 정서와 지능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또한 사회성 향상을 위한 그룹치료를 병행할 수 있으며 극중 상태처럼 직업 교육을 받거나 간단한 아르바이트 활동 등을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가진단 체크 리스트

 

눈을 마주치지 못해요

언어의 표현력과 이해력이 떨어져요

사회성이 좋지 못해요

특정사물에 집착하거나 애착장애의 기미가 보여요

글을 쓸 때 사선으로 쓰거나 삐뚤빼뚤해요

떼를 잘 쓰고 감정은 울음으로 표현해요

강박적인 행동을 보여요

쓸데없이 웃거나 웃음을 참지 못해요

간지럼을 너무 잘 타요

매우 산만하고 감정 조절이 안돼요

 

 

* 위 항목 중 6개 이상 해당되는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