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심리 > 미디어 속 심리

미디어 속 심리

영화·드라마·서적 등 미디어 속의 심리 인사이트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254 좋아요 0 2021-04-12

당신의 행복이 먼저입니다.”

영화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주인공 다카시의 번아웃 증후군

 

 

하루하루 버텨가는 삶을 살고 있는 사회 초년생 다카시. 취업난에 허덕이다가 선택한 영업조직에서 항상 성과를 강요 받고, 상사의 고압적인 태도와 딱딱한 사무실 분위기는 그를 점점 조여옵니다.

 


 

무엇을 위해 일하는 걸까? 만약 살기 위해 일하는 거라면, 나는 살아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쉬고 싶다. 자고 싶다. 내일 같은 건 안 와도 돼!’ 집으로 돌아가는 지하철역에서 비틀거리며 걷던 다카시는 상사의 전화를 바라보며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아무 것도 하기 싫어요직장인 85%가 겪는 번아웃 증후군

 


 

직장인의 85%가 겪고 있다고 밝힌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은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처음엔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거나 감기를 달고 사는 등의 체력저하를 경험하게 됩니다. 증상이 악화된 경우 불면증, 맥박이나 호흡의 변화, 식욕감퇴, 불안감, 체중감소, 관절통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번아웃 증후군의 3단계 증상 변화는?

 


 

번아웃 증후근을 겪고 있을 경우 의욕저하-회피-무감동의 3단계로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1단계 증상은 의욕 및 성취감 감소입니다. 일을 하고 싶지 않고, 동기부여가 되지 않아 목표를 달성해도 성취감을 잘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남을 위로하고 위로 받는 등의 공감력 저하도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2단계 증상은 심리적 회피 반응으로 부정적 생각이 지배하게 되어 모든 것을 내려 놓고, 그만 두고 싶은 마음이 강하게 들 수 있습니다. , 긍정적이었던 성격도 점차 부정적인 성격으로 되고, 도망가고 싶은 마음이 들게 됩니다.

3단계 증상은 무감동입니다. 회피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서 위로나 작은 행복에도 어떤 감정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잘 쉬고, 잘 먹고, 자주 움직이는 것이 최선!

 


 

번아웃 증후군에서 회복하기 위해서는 잘 쉬고, 잘 먹고, 자주 움직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장 편안한 시간과 장소에서 숙면을 취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한 식단과 각종 비타민, 미네랄 등의 건강 보조식품을 챙겨 먹고,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동네에서 산책하는 등의 가벼운 신체활동이 꼭 필요합니다.

또한, 스트레스가 있거나 고민이 있을 때는 쌓아두지 말고, 직장 동료나 친구 그리고 가족들과 고민을 상담하여 그때 그때 해소하고, 완벽주의적 성향을 조금이라도 내려놓을 때 번아웃 증후군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