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경제

경제

우리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의 경제 지식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6,665 좋아요 5 2017-08-10

자산상태표 작성 요령

 

 

 

자산상태표는 기업재무에서 사용되는 대차대조표와 같은 개념으로 가계의 자산상태를 일목요연하게 나타내주는 표입니다. 자산상태표를 통해 가계의 재무상태가 얼마나 안정적인지, 어느 한 종류의 자산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부채의 목적은 무엇이며 장단기 부채의 분배는 어떠한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산상태표는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하는데, 매년 혹은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정기적으로 작성하여 재무상태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왼쪽에 자산상황을 기록하고, 오른쪽에 부채와 순자산을 기록하여, 왼쪽과 오른쪽을 대조해 볼 수 있게끔 구성합니다.


 ① 자산

•현금성 자산: 유동자산이라고도 하며,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 수표, 요구불 예금이나 보통예금, 저축예금 등이 포함됩니다.


•투자자산: 이자나 배당금과 같이 파생되는 재산소득을 기대하거나, 자산가치의 상승을 기대하여 보유하는 자산을 말합니다. 정기예금, 정기적금, 신탁, 주식, 채권, 저축성 보험, 연금 등 주로 가계에서 장기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유하는 대부분의 자산이 투자자산에 속합니다.


•부동산: 주택, 토지, 상업용 부동산, 별장 등과 같은 실물자산을 의미하며, 부동산의 가치는 현재의 시가로 계산해야 합니다.


•기타 자산: 자동차, 가구집기, 보석, 골동품, 미술소장품 등과 같은 개인소유물입니다. 또한 빌려준 돈, 전세보증금, 콘도회원권, 골프회원권 등도 기타 자산에 포함됩니다.


② 부채

•단기부채: 일반적으로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말하며, 유동부채라고도 합니다. 신용카드 대금, 외상, 세금 미지급금, 현금서비스, 기타 개인 채무 등이 포함됩니다.


•중ㆍ장기부채: 고정 부채라고 하며, 상환기일이 1년에서 5년 사이인 경우 중기부채로, 5년 이상 남은 경우 장기부채로 구분합니다. 자동차할부, 주택관련 부채, 학자금 대출 등이 포함됩니다. 자산상태표에는 현재 잔액을 기입합니다.


③ 순자산 순자산은 총자산과 총부채의 차액을 의미합니다. 즉 자산상태표에 열거한 모든 자산을 처분해서 모든 부채를 갚은 후에 남는 잔액입니다. 자산의 개념에는 근본적으로 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순자산이 마이너스라면 빚에 의존해서 산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순자산은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젊은 시절에는 순자산이 적다가, 소득이 증가하고 재정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드는 중년기에는 순자산이 증가하며, 은퇴 후에는 순자산을 사용해서 생활해야 하므로 다시 감소하게 됩니다.

 



 

* 본 정보는 한국재무관리센터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