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경제

경제

우리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의 경제 지식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6,863 좋아요 8 2017-12-20

 

성숙한 예약문화를 방해하는 No Show

 

 



 

최근 노쇼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데요. 노쇼(No-Show)란 외식, 항공, 호텔 업계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예약을 한 뒤 아무런 연락도 없이 예약 장소에 나타나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다른 말로 예약 부도라고도 합니다. 노쇼는 음식점, 병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요. 최근 노쇼로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막대한 경제적 손실 유발

 

노쇼가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는 이유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5 5대 서비스 업종인 음식점, 병원, 미용실, 고속버스, 소규모 공연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쇼로 인한 매출 손실이 4 5,00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특히 음식점이나 미용실과 같은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예약을 하고 나타나지 않는 손님들 때문에 예약된 상품을 판매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시간에 가게를 찾은 손님들까지 놓치게 되어 운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교통, 호텔 등 서비스 업종에서도 노쇼로 인한 피해를 간과 할 수 없는 상황인데요. 코레일에 따르면 발매된 명절 기차표의 30% 정도가 취소되어 반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소·반환된 기차표 가운데 4.5%는 재판매 되지 못하고 불용 처리돼 결국 빈 좌석으로 열차가 운행되었습니다.

 

예약은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사이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계약인데, 신뢰 관계가 무너지면서 사회적 갈등과 경제적 비효율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노쇼 피해를 입었던 곳은 예약 자체를 받지 않거나,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하기도 합니다.

 

 

소비자 인식 개선이 가장 중요

 

 

 

노쇼 문제 해결 방안으로 여러 가지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선 위약금 제도를 들 수 있습니다. 현재 예약 제도에서는 위약금 없이 취소가 가능하거나, 위약금이 있다 하더라도 액수가 크지 않아 약속된 시간에 임박하여 예약을 취소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엄격한 위약금 제도를 시행할 경우 노쇼가 감소하는 현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아시아나 항공은, 노쇼 패널티를 시행한 지 6개월 만에 노쇼 비율이 4분의 1로 감소했다고 합니다.

 

예약비 제도 또한 노쇼 문제 해결책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예약비를 지불하게 함으로써 무분별한 예약을 줄이고, 노쇼가 감소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약 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개선입니다. 소비자 스스로가 예약을 중요한 약속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노쇼는 끊임없이 일어날 것입니다. 따라서 캠페인 등을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노쇼는 이제는 간과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노쇼 문제를 근절하고, 성숙한 예약 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본 정보는 기획재정부BLOG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