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경제

경제

우리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의 경제 지식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6,610 좋아요 5 2018-02-24

2030세대의 더치페이 문화, ‘깔끔하게 N

 

 

 

‘N빵’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는 더치페이 문화의 또 다른 이름인데요. N빵’이란 전체 금액을 인원수(N)로 나누어 부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더치페이 문화는 자신의 비용을 각자 부담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정() 문화와 맞지 않고, 잔돈까지 나눠야 해서 번거롭다는 느낌이 강했는데요. 이런 더치페이 문화가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서 왜 확산되고 있는 것일까요?

 

​​  더치페이의 유래

‘더치페이(Dutch pay)’는 ‘더치트리트(Dutch treat)’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더치(Dutch)’는 ‘네덜란드 사람’을, ‘트리트(treat)’는 ‘한턱내기’ 혹은 ‘대접’을 의미하는 말로, 다른 사람에게 한턱내거나 대접하는 네덜란드인의 관습 중 하나였다고 합니다

 

그럼 언제부터 ‘더치트리트’가 아닌 ‘더치페이’라는 말이 시작되었을까요? 그 시작은 17세기 영국이었습니다. 당시 네덜란드와 영국은 식민지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서로에 대한 반감이 커져 있었습니다. 이 때 영국인들이 네덜란드의 더치트리트 문화를 조롱하며 ‘대접’을 의미하는 ‘트리트(treat)’ 대신, ‘지불’을 의미하는 ‘페이(pay)’로 바꾸어 부르기 시작했는데요. 이후 ‘먹은 음식을 각자 계산하는 이기적인 네덜란드인’을 의미하는 ‘더치페이(Dutch pay)’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네덜란드인을 향한 영국인의 조롱이 담긴 ‘더치페이’는 국내에서도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습니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한턱내는 것을 인정(人情)으로 여기고, 다른 사람을 대접하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우리나라의 정서에 맞지 않았던 것인데요. 더치페이를 하자고 하면 왠지 짠돌이, 짠순이 같은 이미지가 있었던 것도 어느 정도는 사실입니다. 이런 더치페이 문화가 조금씩 확산되면서 초기에는 진통을 겪기도 했는데요. 한 명이 몰아서 하던 계산을 각자 하게 되니 음식점 입장에서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각자 분할결제를 하는 것이 귀찮다는 이유로 더치페이를 거부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  2030세대의 N빵 문화

 

 

 

이런 대화 들어보셨나요? 요즘 음식점 계산대 앞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2030세대의 대화입니다. 바로 ‘N빵’을 하는 현장인데요. 전체 금액을 인원수로 나눠 각자의 몫을 낸다는 점에서 이전의 더치페이와 같지만 금액을 맞추기 위해 일일이 지폐와 동전을 꺼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전처럼 ‘번거롭다’는 느낌은 없습니다

 

N빵 문화가 확산된 요인은 다양합니다. 장기 불황으로 인해 젊은 세대들의 지갑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을 서로가 알기 때문에 N빵으로 서로 배려하는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혼밥과 혼술 등 혼자서 하는 것이 보편화된 시대적 트렌드와 ‘합리적 소비’를 선호하는 현상도 N빵 문화가 확산되는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도 간편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사이에서 N빵 문화가 자리 잡게 된 가장 큰 요인은 따로 있는데요. ‘간편 계좌이체 앱’이 바로 그 일등공신입니다. 최근 핀테크 기술의 발달로 간편 계좌이체 앱이 보편화되면서 2030세대의 결제 풍속을 바꾸고 있는 것입니다.

 

​​  간편 계좌이체 앱

 

 

 

대표적인 간편 계좌이체 앱(이하 ‘N빵 앱’)으로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그리고 스타트업 기업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Toss)’가 있습니다. 이러한 N빵 앱들의 공통 슬로건은 바로 ‘공인인증서 없이 쉽고 간편한 송금’입니다. 처음에 한번만 등록해 놓으면 No공인인증서, No보안카드, No계좌번호, No수수료로 기타 복잡한 절차 없이 터치 한 번 혹은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간단하게 계좌이체가 가능합니다. 심지어 돈을 받는 상대방이 해당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고 앱을 다운받지 않았어도 상관없이 계좌이체가 가능하고 송금 받은 직후 바로 돈을 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간편 계좌이체 앱 광고 화면 (이미지 출처: App store-Toss, 카카오페이 미리보기 페이지 / 네이버페이 광고 캡처)

 

이처럼 빠르고 간편하다는 특징 덕분에 N빵 앱들의 이용자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N빵 앱을 제공하는 한 업체는 지난 12월 기자간담회를 열어 가입자가 650만명을 돌파하고, 누적 송금액이 10조원이 넘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연령별 사용자 비중을 보면, 20대 사용자의 비율이 독보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요. 보통 20대는 고정 수입원이 없는 경우가 많고 신용카드의 사용이 적습니다. 이 때문에 친구들과 식사를 함께 한 뒤 N빵을 하는 일이 많고, 대학생의 경우 동아리회비나 학생회비 등 송금할 일이 잦기 때문에 다른 연령층에 비해 N빵 앱 사용횟수가 더욱 높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지문인식만으로도 빠르고 간편하게 송금이 가능하다는 편리성 때문에 N빵 앱의 사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2030세대의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와 더불어 간편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시대적 트렌드에 따라 축의금, 모임회비, 학생회비 송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요. 핀테크의 발전이 가져올 편리함은 앞으로 N빵 문화를 더욱 확산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본 정보는 기획재정부 블로그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