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경제

경제

우리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의 경제 지식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7,058 좋아요 20 2017-03-23
종합주가지수와 주식, 펀드와 관계
 

 
종합주가지수가 올랐다는 것은 종합주가지수에 편입된 상장 기업들의 전체 주가 총액,즉 주식값이 오르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기업의 주식이 오르는것은 아닙니다.주식총액은 '주식수 * 주식값' 이므로 덩치 큰 기업의 값이 많이 오르면 덩치 작은 기업들의 주식값은 하락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종합주가지수가 오르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종합주가지수는 전체적인 큰 그림을 보는 수단으로 생각해야 하며,주가지수가 올랐다고 해서 자신이 보유한 주식이나 펀드가 꼭 오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잘 알아야 합니다.
 

종합주가지수-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주가지수는 주식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지수로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종합주가지수는 우리나라에서 상장된 모든 회사들의 주식 총액을 나타내는 지표로,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라고도 합니다.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하며 이날의 종합주가지수를 100으로하여 1980년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기업들의 주식값이 얼마나 올랐는가를 보여주는 지수입니다. 비유하자면 1980년 한국이라는 학교에서 각 기업이라는 학생들의 성적이 현재 어느정도로  향상되었는지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코스피 2000 이라고 하면 30년 전에 비해 성적이 20배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코스닥(KOSDAQ :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코스닥은 코스닥위원회가 운영하는 시장으로 미국의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을 본떠 만든것으로 중소, 벤처기업을 위한 증권시장입니다. 종합주가지수가 주식시장에 정식으로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면,코스닥은 벤처기업들이 등록하는 곳입니다.1996년7월1일을 기준시점으로 하며 이날의 지수를 1000으로 정하였습니다.
 
1998년에 IT기업이 등장하면서 한국에 코스닥 광풍이 불었습니다.그래서 일반투자자들은 코스닥이 닭과 연관된다고 생각하고 닭고기 업체 주식을 열심히 사모으기도 했고,코스닥에 등록되는 것만으로도 장래가 촉망되는 기업으로 인식되기도 했습니다.
 
코스피200
코스피200은 코스피의 핵심정리 요약집이라고 할수있습니다. 종합주가지수가 모든 상장회사의 주가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시장 상황과 업종을 대표하는 200개 회사를 선정하는 것입니다.즉 코스피는 너무 수가 많으므로 대표선수 200개만 뽑아 정리한것이라고 보면됩니다. 기준시점은 1990년1월3일입니다.
 
니케이지수
니케이 지수란 1975년부터 일본의 니혼게이자의 신문사가 산출,발표하는 주가지수입니다. 기준시점은 1949년 5월16일이며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가운데 유동성이 높은 225개 종목을 대상으로 산정합니다.우리나라 코스피200보다 25년 먼저 나온 '일본판 코스피200'이라고 보면됩니다.

항셍주가지수
항셍주가지수란 홍콩판 코스피200으로 인터넷에서는 홍양 또는 H양 이라고 합니다. 홍콩 최대의 은행인 홍콩상하이은행(HSBC)의 자회사인 항셍은행이 홍콩 증권거래소(HKSE)에 상장된 종목 가운데 상위 33개 우량종목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주가지수입니다.
 
MSCI지수
미국의 모건 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 사가 작성해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이다.미국.유럽 등 23개 선진국 시장을 대상으로 한 선진국 지수와 아시아 중남미 등 28개국 선진국 시장을 대상으로 한 EMF 지수로 크게 구별되며 아시아 . 라틴아메리카 . 유럽 등 각 지역별 지수와 각 나라별 지수가 있습니다. 물론 MSCI코리아도 있습니다. MSCI 지수에 편입된다는 것은 검증된 안전한 투자처로 해석되어 주식값을 오르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 본 정보는 한국재무관리센터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