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경제

경제

우리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의 경제 지식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6,967 좋아요 2 2019-08-07

모바일 상품권 유효기간 지나도 환불 가능할까?

 

 

 

 

 

# 직장인 장모(28,)씨는 친구 생일 때 현물 대신 모바일 상품권을 선물합니다. 바쁜 일상 때문에 친구 만날 시간은 없고 그냥 지나치는 것이 미안해 모바일 상품권으로 생일선물을 대신한 것인데요.

 

최근 많은 사람들이 모바일 상품권을 선물로 주고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인데요. 하지만 한편에서는 유효기간 내 상품권을 사용하지 않아 버리는 일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모바일 상품권은 유효기간이 지나면 환불을 받을 수 없는 것일까요? 친절한 경제씨가 여러분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날로 성장하는 모바일 상품권 시장

 

통계청이 발표한 ‘20192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모바일 상품권(e쿠폰)의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지난해 21000억 원에 달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20121084억 원 보다 약 19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한 통계청은 올해 1분기 모바일 상품권(e쿠폰)을 통한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7,199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거래액인 3,744억 원보다 2배 정도 증가했다고 전했습니다.

 

2019년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의 조사(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천 명 대상)에 따르면 응답자의 91% 이상이 모바일 쿠폰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했는데요. 모바일 쿠폰 이용 이유로는 선물하기 쉬워서’(59.6%), ‘상대방이 잘 이용할 것 같아서’(55.9%), ‘선물하는 것에 부담이 덜해서’(29.3%) 등을 꼽았습니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편리함때문에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상품권 환불 및 차액 환급

 

모바일 상품권 시장은 날로 커지고 있지만 짧은 유효기간, 만료 및 잔액 환불 규정 미비 등 이용 불편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많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환불 규정에 대한 안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소비자들이 모바일 상품권 유효기간이 3개월인 줄 알고 삭제해버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쌓인 모바일 상품권 미청구 금액이 수백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모바일 상품권 구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모바일 상품권 미청구 금액이 S174억 원, K72억 원, O19억 원 등 총 금액이 304억 원을 넘어선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모바일 상품권은 상품권 유형에 따라 환불 규정이 조금씩 달라지는데요, 각기 다른 환불 규정을 살펴볼까요?

 

 

금액형 상품권

 

금액형 상품권은 백화점 상품권처럼 특정 금액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을 말하며 유효기간은 1년 정도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소비자분쟁해결기준(신유형상품권)에 따르면 유효기간이 지났더라도 구매일로부터 5년 이내라면 90%의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1만 원 이하인 경우 80% 이상, 1만 원 이상은 60% 이상 사용하면 차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상품형(교환형) 상품권

 

상품형 쿠폰은 커피, 영화 관람권 등 특정 상품만을 구매할 수 있는 상품권입니다. 가격은 1천 원부터 3만 원까지 다양하며, 쿠폰 유효기간은 3개월 정도인데요, 유효기간이 지났더라도 구매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았다면 구매가격의 90%를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커피 기프티콘에 표시된 유효기간은 지났으나 구매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소비자는 4,500(5,000*0.9)의 금액을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기한 내에 사용을 못 할 경우에 대비해서 유효기간 연장이 가능하지만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상품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개월에서 1년 수준으로 연장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효기간 만료일이 다가올 때 문자로 유효기간 연장을 알려주는 업체가 있고, 알려주지 않은 업체도 있는데요. 유효기간 연장 문자를 받았다면 안내된 방법으로 쉽게 연장이 가능하지만 이를 알리지 않은 업체는 일일이 전화로 연장 신청을 해야 합니다. 때문에 금액이 작을 경우 번거로움 때문에 그냥 지나치는 소비자들이 있습니다.

 

 

 

 

 

 

, 상품형 쿠폰은 금액형 상품권과 다르게 차액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예를 들어 1만 원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으로 5000원짜리 상품을 구매했을 경우 차액인 5000원은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부 업체에서는 차액을 현금이나 포인트로 돌려주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 업체가 차액을 돌려주지 않고 있는데요. 이는 상품형 상품권 잔액 환급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기 때문입니다.

 

공정위에 따르면 상품형 상품권은 특정 상품을 사는 것이 원칙이고 정해진 상품보다 저렴한 상품을 구매했더라도 차액을 환불해줄 의무가 없다고 전했는데요, 이에 소비자들은 상품형 상품권 규정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공정위는 이 같은 소비자들의 의견에 표준 약관 개정을 고려해보겠다고 전했습니다.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누구나 잔액 환급, 유효기간 연장에 대한 궁금증을 가져보셨을 텐데요. 상품권 종류에 따라 이용규정이 다르니 꼼꼼히 알아두었다가 더욱 유용하게 상품권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모바일 상품권 수요가 더욱 늘어나는 만큼 업체 측에서도 유효기간 연장, 환불 등에 대한 규정을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알려야 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 본 정보는 기획재정부 블로그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