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경제

경제

우리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의 경제 지식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6,939 좋아요 18 2017-04-20

펀드 투자 성공 가이드  

 

 

 

새롭게 출시되는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직장인 세테크상품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소득공제에만 쏠리는것 같은데 오늘은 그보다 근간이 되는 "펀드"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합니다.

IMF 이전 우리나라의 저축금리는 10%를 훨씬 웃돌았습니다. 그래서인지 그 시절엔 재테크보다는 착실하게 은행에 저축하는 습관을 미덕으로 여겼던 것 같습니다. 아껴서 저축만 열심히 해도 돈을 모을 수 있던 시절이였으니까요.

그러나 요즘 현실은 그때와는 너무나 환경이 달라졌습니다. 은행금리는 물가상승률도 따라가지 못하는 저금리시대가 되었고 은퇴는 빨라졌고 수명은 길어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제 재산을 모으고 증식하기 위해서는 변화된 흐름에 맞춰 저축 마인드에서 투자마인드로 의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투자는 은행에 차곡차곡 저축하는것과는 너무도 달라서 자칫 잘못하면 돈을 벌기보다는 원금마저 까먹을 수가 있기때문에 상품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기가 어렵습니다. 아는 만큼 보이는 것이 돈이라고 합니다.

펀드란 과연 무엇일까요?
펀드는 투자전문기관이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서 유가증권 등의 자산에 투자하고 여기서 올린 수익을 투자 지분에 따라 다시 투자자에게 나누어 주는 것으로서 직접 주식을 사고 파는 직접투자와는 달리 간접투자방식의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펀드는 보통 30~40개의 서로 다른 종목에 투자하기 때문에 주식시장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분산하여 직접 투자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이러한 펀드투자에 성공하기 위해서도 몇가지 지켜야 할 것들은  있습니다. 먼저 자신의 형편에 맞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구요 그 다음 포트폴리오에 맞게 세부적인 펀드 상품을 골라야 합니다.

펀드 상품을 고를때는 일단 펀드의 성격을 파악하고, 자신의 투자목적에 맞는지를 확인하고, 펀드 운용사의 실력을 점검해 봐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펀드 수수료도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펀드는 1~2% 정도의 수익률은 쉽게 오르락내리락하기때문에 실제 수수료가 얼마나 나가는지 체감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장기투자의 경우 수수료의 차이가 실제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작지 않다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 본 정보는 한국재무관리센터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