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경제

경제

우리 실생활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의 경제 지식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7,109 좋아요 0 2020-09-22

알아두면 좋은 예·적금 체크리스트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일에 대비하기 위해 돈을 모으는데요. 오늘은 예·적금의 유형부터 다양한 예·적금 상품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사이트 등 예·적금 가입 전 알아주면 좋은 정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 정리해드립니다

 

·적금은 예입·인출이 자유롭고 이자가 거의 없거나 낮은 수준의 요구불예금과 일정 기간 동안 예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받는 저축성 예금으로 구분됩니다.

 

요구불예금은 원할 때 언제든지 조건 없이 입금 및 출금을 할 수 있어 자유로운 대신 이자가 거의 없거나 매우 낮은데요. 대표적으로 보통예금과 당좌예금이 있습니다. 보통예금이란 예입과 인출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통장식 은행예금이고, 당좌예금은 수표 또는 어음을 발행하여 언제든지 자유로이 찾을 수 있는 예금을 말하죠. 은행에서는 다양한 입출금 통장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데요. 직업, 연령 등에 따라 필요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입출금 통장 상품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축성예금은 대표적으로 정기적금, 정기예금, MMDA 등이 있습니다. 정기적금은 만기일에 원리금을 지급받는 상품으로 푼돈을 모아 목돈을 마련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입니다. 정기적으로 일정금액을 적립하는 정액적립식과 예금자가 상황에 따라 적립하는 자유적립식으로 나뉘어집니다.

 

정기예금은 목돈을 일정 기간 예치하고 매월 또는 만기에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장기저축상품인데요. 일정한 금액을 약정기간이 만료될 때까지는 원칙적으로 환급해주지 않는 기한부 예금입니다.

 

MMDA(Money Market Deposit Account)는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식 예금으로 금액에 제한 없이 통장을 개설할 수 있고 수시로 입·출금할 수 있으며 각종 이체와 결제도 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가 은행에 맡긴 자금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얻은 이익을 이자로 지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실제 금리가 적용되는데요. , 예금금액 따라 금리는 차이가 있습니다.

 

 

 



가입채널에 따라 달라요

 

 

·적금 상품 구입은 영업점(대면 채널)과 온라인(비대면 채널)으로 가능한데요. 온라인 판매전용상품 등 상품별로 가입 가능한 채널에 차이가 있습니다.

 

영업점을 방문하여 예·적금을 가입할 때에는 반드시 본인의 실명으로 가입해야 하는데요. 본인이 직접 가입하거나 대리인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은행들은 창구에서만 거래가 가능하고 인터넷뱅킹 등 거래를 제한하는 일명 보안계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보안계좌를 등록한 경우 계좌통합관리서비스(어카운트인포)에 조회되지 않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온라인(인터넷, 스마트폰 등 비대면채널)을 통하여 계좌 개설, 전자금융서비스 및 상품 가입 등을 할 수 있는데요. 상품에 따라 창구보다 온라인 전용상품에 높은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입 채널에 따른 우대요건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온라인 전용 상품의 경우 가입 금액에 제한이 있을 수도 있고, 금융회사별로 제공되는 온라인 우대상품 및 내용은 차이가 있습니다.

 

 

 


<출처 : 금융상품 한눈에 홈페이지>

 

 

 나에게 맞는 상품을 찾으려면?

 

은행연합회는 최근 6개월 이내 은행에서 출시된 신상품들을 하나로 모아 소개하고 있는데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사이트(https://portal.kfb.or.kr/)에 접속한 후 금융상품정보 메뉴에서 은행상품소개를 누르시면 다양한 은행 신상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은행별 모든 신상품이 게시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니 자세한 내용은 은행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상품을 통합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도 있는데요.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상품 통합비교공시시스템 금융상품 한눈에(http://finlife.fss.or.kr)’에서는 은행과 저축은행에서 판매 중인 예·적금상품을 통합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은행연합회와 저축은행중앙회도 금융권역별 대표적인 상품에 대하여 금리 등 비교공시를 하고 있는데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의 은행별 예금금리 비교공시(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neosearch.php)의 경우 각 은행에서 직접 선별한 대표상품(1~3)을 공시하며, 현재 판매 중인 상품을 기준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시된 금리는 세금공제 이전 연이율이며, 가입금액에 따른 우대조건을 반영하지 않은 기준금리이므로 확인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축은행중앙회 홈페이지에서는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품의 금리를 비교할 수 있는데요. 각 저축은행에서 판매 중인 대표상품들을 지역별·가입기간별 높은 금리 순으로 비교가 가능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저축은행중앙회 > 소비자포털 > 금리보기 페이지(https://www.fsb.or.kr/cps_index.act)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예·적금 가입 전 알아두면 좋은 정보를 소개하였는데요. ·적금 상품은 금융기관별로 다양하므로 자신의 상황에 알맞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본 정보는 기획재정부 블로그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