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부동산

부동산

금융자산의 확보, 시시각각 변하는 부동산 상식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4,503 좋아요 4 2017-08-23

결혼자금 만들기

적령기 결혼에 성공하는 비결

 

 

최근 결혼비용에 대한 부담때문에 결혼을 못하거나 결혼 시기를 미루는 사람들이 많아 결혼 적령기가 점점 늦어지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그러나 예상외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결혼적령기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남자의 결혼 적령기는 30대초반, 여자는 20대 후반으로 생각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지난해 결혼자금 조사결과를 보면 남성은 평균 12,850만원, 여성은 4,395만원을 결혼 비용으로 썼다고 합니다. 남녀 두사람이 합쳐 1억 7천만원 이상이 필요하다는 결론인데 이대로라면 부모의 도움 없이 적령기에 결혼할 수 있는 미혼남녀가 과연 몇이나 될지 의문이 생길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그렇다고 결혼을 포기하거나 무작정 미루는 것이 능사는 아닙니다. 각종 혼수나 예물 등에 들어가는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인 결혼절차를 통해 비용을 줄인다면 적령기 결혼에 성공할 있는 지름길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1. 결혼을 언제쯤 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지금 당장 결혼할 사람이 곁에 없다하더라도 언제 자신의 반쪽을 만나 결혼을 하게 될지는 아무도 예견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어느정도 자신의 결혼시기를 정해놓고 필요한 시기에 맞춰서 금융상품을 운용한다면 안정적으로 결혼자금을 마련할 수가 있습니다. 설령 결혼을 서두르거나 미루게 된다하더하도 목돈을 마련해 두면 필요에따라 유용하게 쓰일수가 있습니다.

 

2. 결혼자금은 얼마로 할것인지?

결혼비용은 풍선과 같아서 바람을 넣기에 따라 한없이 커지기도하고 한없이 작아지기도 합니다. 남들이 하는대로 똑같이 준비하려다보면 개성도 없고 기준도 없어 결혼자금에 대한 부담만 커지게 됩니다.

때문에 결혼을 준비할때는 자신의 재무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결혼비용을 미리 정하는것이 좋습니다. 결혼비용의 규모를 예상하여 지금부터 얼마씩 저축하면 되는지, 지출은 얼마나 줄여야 가능한지를 예측하고 정해진 기간동안 예상하는 자금을 모으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으로 얼마의 수익을 내야하는지 꼼꼼히 분석하여 체계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단기금융상품 활용하기

결혼시기는 유동적이고 생각보다 빨리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직장생활을 시작하고 2~3년 이내에 결혼을 계획하게 되므로 결혼자금은 무리하게 수익을 추구하는것 보다는 안전한 단기 자금으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단기간에 달성해야하는 재무목표인만큼 소득과 지출을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보장성 자산은 미리미리 준비 할 것

보험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경제적 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입니다. 매월 나가는 보험료가 아깝다고 보험을 미루고 저축액을 더 늘리고자한다면 당장은 도움이 될수 있겠지만 예기치 못한 위험(질병이나 사고로 인한 병원비나 수술비, 수입의 단절 등) 에 봉착했을때 그동안 잘 모아오던 목적자금이 한 순간에 사라질수도 있습니다.


보험은 일찍 들수록 보험료도 저렴하고 사고나 질병이 생긴 후에는 보험을 가입할 수가 없으므로 미리 가입하는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옳은 선택입니다. 또한 결혼 후에는 서로의 보험을 체크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없는지 또 서로를 위해 보장이 부복한 부분은 없는지 따져보고 적절한 시기에 보험 리모델링을 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본 정보는 한국재무관리센터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