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재테크 > 부동산

부동산

금융자산의 확보, 시시각각 변하는 부동산 상식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조회수 4,654 좋아요 4 2017-05-22

노후준비 연금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0년 한국은행의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전체 자산의 약 75%를 부동산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가구는 부동산 비중이 85%를 웃돌고 있습니다.

 

2011 2월 한 투자회사가 은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자산의 80%가량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은퇴자산=부동산"이나 다름없어 대부분 현재 살고 있는 집이 전 재산인 상황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은퇴자 대부분은 또다시 은퇴를 준비할 기회가 주어진다고 해도 부동산에 의지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부동산은 언젠가 오른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재산증식의 중심은 늘 부동산이었고 결과는 언제나 '대성공'이었기 때문에 대출을 안고 집을 사지 않으면 바보취급을 당하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에 치우친 노후준비는 위험합니다. 최근 집값·땅값이 하락하면서 굳건해 보이기만 했던 부동산 불패신화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자산 가치 하락의 위험은 접어두고라도 무엇보다 부동산은 '유동성'이 부족합니다.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일 때는 집을 팔려고 내놓아도 거래가 안 되고, 제 값 받고 팔려면 얼마를 기다려야 할지 알 수도 없습니다. 미국에서는 집이나 땅 등 부동산은 있지만 당장 쓸 수 있는 돈이 없어 생활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하우스 리치, 캐시 푸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식으로 표현하면 '부동산 거지'인 셈입니다. 아무리 많은 돈도 부동산에 묶여 버리면 '그림의 떡'이나 다를 게 없어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안정적인 노후와 가정의 평화를 위해서는 부동산에만 의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재산이 많다고 노후준비가 끝난 것은 아니고, 필요한 때 필요한 만큼 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노후의 자금관리 원칙은 '안정성' '원활한 현금 흐름'입니다. 무리하게 돈을 불리기보다는 안전하게 지키는 게 우선이고, 동맥경화처럼 현금 흐름이 막혀서도 안 되는 것입니다.

 

노후 준비의 기본은 연금입니다. 연금은 장기에 걸쳐 일정 금액을 적립한 다음 노후에 원리금을 매달 혹은 일정 기간에 걸쳐 쪼개어 받는 것입니다. 따라서 은퇴로 고정적인 수입이 뚝 끊긴 노후에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노후에는 "연금이 효자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매달 월급처럼 꼬박꼬박 통장에 생활비를 넣어주는 든든한 효자 노릇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너무 거리가 멉니다. 일전에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연금'은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습니다.

 

국민 10명 가운데 9명 이상이 보험에 가입해 있지만 연금 가입률은 22%에 불과합니다. 이는 아직까지 연금에 대한 관심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결과입니다.

 

실제 2010 5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현재 1천만 명에 이르는 고령 인구(55~79)의 평균 연금수령액은 35만 원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그 중 절반 가까이가(45.6%) 월 평균 10만 원 미만의 연금을 수령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금의 비중을 대폭 늘릴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연금은 장기간 돈을 묻어두어야 하는 만큼 단단히 결심이 필요합니다. '노후자금'이라는 이름표를 붙여두고 최소한 10년 이상을 목표로 장기투자 한다는 각오로 접근해야 합니다.

 

특히 연금은 중도 해지하면 손해가 크므로 처음부터 무리하게 불입액을 정하기보다는 현재의 소득과 미래의 수입을 감안하여 점차 늘려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노후 준비에서 연금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당장은 나가는 돈이 아깝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젊은 시절 땀 흘려 준비한 연금은 훗날 노후의 안정적인 삶으로 보답해줄 것입니다.

 

* 본 정보는 한국재무관리센터에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