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건강 > 건강이야기

건강이야기

신뢰할 수 있는 의학·건강 인사이트를 위한 건강 컨텐츠를 헬스케어 전문가가 제공합니다.

조회수 106,577 좋아요 4 2018-02-26

키 성장 방해하는

성 조숙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성조숙증 진료환자는 2006 6,438명에서 2010 2 8,181명으로 5년 사이 무려 4.4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외모가 경쟁력이 되어가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어린이의 성조숙증 증가는 아이들뿐만이 아닌 부모들에게도 예방법이나 조기발견, 치료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원인이 되고 있다.

 

 

성조숙증 원인과 키 성장과의 관련성

성 조숙증의 발생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제까지 밝혀진 성조숙증의 증가 원인으로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비만이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는 있다.

일반적으로 서구화된 식습관에 길들어져 소아 비만이 된 아이일수록 사춘기가 앞당겨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늦어지는 취침 시간과 TV·인터넷 등 정신적 자극 환경에 노출되는 것도 성조숙증의 증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성조숙증 아이들은 사춘기가 빨리 찾아옴으로써 키가 일찍 크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도 앞당겨져 성인이 됐을 때 결과적으로 정상 키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조숙증 진단

성조숙증은 호르몬 이상에 의해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여아의 경우 8~9세 사이에, 남아는 9~10.5세 사이에 사춘기가 나타나는데 만8세 미만 여자 아이가 가슴 발달이 시작되거나 만9세 미만의 남자 어린이의 고환 크기가 커지면 성조숙증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성호르몬이 이른 시기에 분비돼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성조숙증이라 한다.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난소 또는 고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진성 성조숙증,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성조숙증 증상을 보이면 가성 성조숙증이라 한다. 성조숙증은 남아보다 여아에게 더 흔하지만, 심각한 병적 원인을 가지는 경우는 남아가 더 흔하다. 발생 연령에 따라 성조숙증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 변화 질환군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조숙증의 예방 및 치료방침

성조숙증 치료는 빠를수록 좋다.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병원 전문의를 찾아야 하는 기준을 아래의 체크포인트로 정리해보았다. 만약 병원의 전문의를 찾지 않고 검증되지 않은 방법을 시도하다보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호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로

  호르몬 검사하기: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활성화를 확인하기 위해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을 투여한 후 30분 간격으로 2시간 동안 혈액에서 황체화 호르몬(LH), 난포자극 호르몬(FSH) 농도를 측정한다. 황체화 호르몬(LH)의 최고 농도가 5IU/L 이상이면 활성화됐다고 판단한다.

 

   손과 손목 X-ray 촬영: 골성숙을 위해 측정하는데, 사춘기가 많이 진행되고 진행 속도가 빠를수록 증가되어 있다.

 

성 조숙증 예방을 위해

  수면부족과 비만은 생체리듬의 교란을 가져와 성조숙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의 연구 팀에 따르면 10세 미만 아이가 8시간 이하로 잠을 자면 과체중의 위험이 3배나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②  매달 키와 몸무게를 기록하여 비교해본다. 부모 키가 큰 경우에는 꾸준히 치료를 받는 경우, 치료를 일찍 시작할수록 치료 전에 예측한 어른 키보다 더 커질 수 있지만 치료 중 신장 증가 속도가 너무 작아 필요 시 성장 호르몬을 함께 투여하는 경우도 있다.

 

③  일반적으로 비만은 사춘기를 일찍 오게 할 수 있어 비만을 예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식이 제한 등은 필요하지 않으며 고루고루 잘 먹기, 햇볕을 쬐면서 적절한 운동하기 등을 권한다.

 

④  성인용 화장품에도 여성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아이가 함부로 바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