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HOME > 건강 > 건강이야기

건강이야기

신뢰할 수 있는 의학·건강 인사이트를 위한 건강 컨텐츠를 헬스케어 전문가가 제공합니다.

조회수 126,488 좋아요 0 2021-01-25

극심한 우울감으로 괴로워요

 ⑮ 암 환자의 정신과적 문제와 해결 방안


암에 걸리면 단순히 스트레스를 받는 수준을 넘어 극심한 수준의 정신적 고통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증상은 암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잦은 응급실 방문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도 증가시키고 환자 본인과 가족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암 환자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정신과적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짚어본다.

 


 

수면 장애
  
부면증 등의 수면 장애는 암 환자에게 매우 흔한 증상이다유발 원인에 따라 정신생리적 불면과 우울증·불안·섬망 등의 정신 장애에 동반된 증상으로서의 불면통증이나 호흡 곤란 등 신체적 불편에 의한 수면 장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우울증에 동반된 불면은 항우울제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통증에 의한 불면은 통증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도해야 한다또한 잘못된 습관이나 수면에 대한 왜곡된 인지 등으로 유발된 수면 장애는 수면 위생교육이나 인지행동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불안 장애
  
불안은 암 환자의 10~30%에서 나타난다고 보고되며증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폐쇄공포증은 MRI 검사무균실두경부종양의 방사선 치료 공간 등 폐쇄된 공간에서 심한 불안감을 경험하는 것으로검사 자체를 회피하게 될 수 있다바늘 공포증이나 방사선 공포증처럼 암 치료에 필요한 검사나 특정 대상에 대한 공포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불안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는 질환에 대한 교육이완요법심리치료인지행동 치료 등이 있으며 항불안제항우울제 등의 약물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




우울증 
  
우울증 또한 암 환자의 약 10~30%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정신 장애다우울감짜증분노흥미 상실수면 또는 식욕 변화초조피로감집중력 저하죽음에 대한 생각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적적한 치료를 위해서는 신체적 상태나 약물병과 예후에 대한 환자의 이해스트레스 요인,지지 수준 등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중요하다약물치료와 더불어 이해공감수용격려 등을 통해 환자가 부정적 감정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지정신치료도 병행돼야 한다.




자살
  
우울증을 치료하지 않는 일반인이나 환자는 자살의 위험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암으로 인한 신체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진행성 암이나 더 이상 치료 방법이 없는 경우 등이 자살요인이 될 수 있다특히 조절되지 않는 통증은 우울증통제감 상실절망감 등 자살의 위험인자들과 관련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섬망
  
섬망은 입원 환경에서 발생 위험이 특히 높고 말기암 환자에게 자주 나타날 수 있는 응급상황이다섬망은 의식 수준의 저하 및 인지기능 변화지남력 상실환각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섬망은 흔히 단일요인이 아닌 전해질 불균형내분비적인 문제감염저산소증탈수증 등의 여러 의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데 해당 원인의 교정에 따라 회복이 가능하기도 하다섬망 발병에 기여한 원인을 교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낙상이나 자해 행동을 하지 않도록 환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


정보 출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꼭 알아야 할 치료·영양 가이드, 2013